#마인드셋
한국 직장생활이 감정노동을 수반하는 이유.

한국 직장 생활이 감정노동을 수반하는 이유.

 

1️⃣ 똑같이 생겼는데 다양한 소통법의 나라.

내가 볼 때 한국 직장생활에 가장 큰 어려움은 Passive한 소통, 그러니까 부탁이나 피드백을 돌려 얘기해야 하는게 예의이라고 인식하는 사회적 Default 분위기/괴리에 있다.

 

특정 한국인이 Passive한 소통을 하는 정도가 어느정도인지 가늠하는 이 항목은 역이민 온 외국인/한국인들 뿐만 아니라, 앵간한 한국인들에게도 불가능할 정도로 어렵다.

 

하나의 예시로, 완전히 개화되어 터놓고 소통하는 문화를 가진 가정에서 자란 (부모님도 1.5세대 유학파) 인사과 과장님이 있는 반면에, 비서울권 지역내 한옥에서 태어난 부모님을 두고, 서당에서 가르치신 엄한 할아버지 밑에서 극단으로 Passive한 소통문화를 가진 가정에서 자란 상사가 있는 경우이다. 이 경우, 극단적으로 Passive한 소통문화를 선호하는 상사에게 나는, 무조건적이고 예의바른 충성심으로 인정받아야 하는 동시에, 연말 인사과장님께 보고하는 자기성과표에는 자기 성과를 하나부터 열까지 주도면밀하고 떳떳하게 기재하는 대범함과 투명한 소통함으로 인정받아야 한다.

아티클을 더 읽고 싶다면?
이오플래닛에 가입해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아티클을 무료로 볼 수 있어요.
로그인/회원가입
링크 복사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추천 아티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