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빌딩
#운영
#마인드셋
#기타
스티브 잡스가 사랑한 의사결정 구조 : DRI
팀을 이끌고 있는 리더 혹은 대표라면 새로 합류하는 사람들이 모두 적극적인 오너십을 바탕으로 일하며 결과를 내주길 바랄 겁니다. 마치 모두가 대표인 것처럼 일하는 조직이죠. 그러면 어떻게 회사가 시스템적으로 각 팀원이 강력한 오너십을 가지고 일하는 환경을 만들어줄 수 있을까요?
DRI(Directly Responsible Individual)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이 용어를 ‘개념’화 하기 시작한 것은 애플입니다. 스티브 잡스가 업무의 책임자를 두기 위해 DRI 개념을 썼어요. 잡스가 이 개념을 만들게 된 계기는 이런 의문 때문이었습니다
“마케팅 팀에서 A라는 전략을 도출하여 실행했는데 예상했던 것보다 결과가 많이 좋지 않았다. 전략의 최종 의사결정권을 해준 팀장이 잘못일까? 전략을 구상했던 팀원의 전략이 잘못된 것일까?”
안녕하세요. 최현일 대표님. 좋은 글 감사합니다.
DRI에서 책임은 ‘탓’ 할 대상이 아니라 배움의 주체라는 것이 매우 와닿았습니다.
저도 회사에 다닐 때 특정 업무에 대한 의사결정, 실행, 책임을 모두 맡아야 했는데 이 때 '나는 그거 잘 모르니까 네가 알아서 추진해' 라는 식의 방관에 가까운 상황에서 의사결정과 실행을 하다 보니 책임 부분에서 큰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물론 상사분께서 '문제 생기면 네가 다 책임져야 한다'고 하지 않았는데도 말이죠. 그 때 이런 말씀을 해주셨더라면 좀 더 오너십을 가지고 일할 수 있었겠다는 생각이 들고, 제가 창업하게 된다면 책임의 의미를 분명하게 알려주어 책임감은 가지되 부담은 덜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회사에서 책임의 의미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DRI에서 책임은 ‘탓’ 할 대상이 아니라 배움의 주체라는 것이 매우 와닿았습니다.
저도 회사에 다닐 때 특정 업무에 대한 의사결정, 실행, 책임을 모두 맡아야 했는데 이 때 '나는 그거 잘 모르니까 네가 알아서 추진해' 라는 식의 방관에 가까운 상황에서 의사결정과 실행을 하다 보니 책임 부분에서 큰 스트레스를 받았습니다. 물론 상사분께서 '문제 생기면 네가 다 책임져야 한다'고 하지 않았는데도 말이죠. 그 때 이런 말씀을 해주셨더라면 좀 더 오너십을 가지고 일할 수 있었겠다는 생각이 들고, 제가 창업하게 된다면 책임의 의미를 분명하게 알려주어 책임감은 가지되 부담은 덜 수 있도록 해야겠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회사에서 책임의 의미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오 좋은 글이 되었다니 좋네요. 감사합니다. 창업도 멋지게 잘 일궈나가시길 기대할게요!!
이번주 인기 아티클
추천 아티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