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봇 #사업전략 #프로덕트
피클: 온라인 상의 '나' 자신이 완전히 대체되는 미래

미친꿈을 위대하게, 초기 스타트업 VC 베이스벤처스에서 발행하는 글입니다. 
더 다양한 컨텐츠를 접하고 싶으신 분들을 미친 창업가들의 성지로 초대합니다. 
👉 베이스벤처스 웹사이트 바로가기


Written by : 베이스벤처스 양형준 이사


 

초기 투자를 하며 가장 큰 희열을 느끼는 순간은 내가 투자한 창업자가 미친듯이 빠르게 성장할 때입니다. 올해 초, 20대 중반의 또래들로 구성되어 미국의 YC, NfX와 같은 유수의 극초기 펀드들로부터 투자를 유치한 피클(Pickle)은 뭔가 대단한 이력이나 경험이 있을 것이라고 예상되지만, 사실 그렇지 않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매력적인 AI 서비스를 만들고, 미국 top VC들의 투자를 받았을까요? 
 

그것은 피클의 박채근 대표님과 공동창업자 분들께서 가장 큰 수준의 야망과 매우 빠른 실행을 바탕으로 레슨런을 쌓아나가며, 적어도 제가 최근 본 창업팀들 중에서는 단위기간 내 가장 빠르게 성장해왔기 때문입니다. 정말 압도적인 기울기로요.

 


 

팀 엔트리, 첫만남

 

피클의 법인 설립 전 코드명은 팀 엔트리였고, 이들을 처음 알게된 것은 2024년 3월 22일이었습니다. 한국투자파트너스의 김희진 수석님께서 “아직 법인 설립도 안된 팀을 하나 만났는데, 왠지 너가 좋아할 것 같아”라면서 팀 엔트리 소개 페이지를 공유해주셨는데, 바로 취향저격 당했습니다. 이전에 투자한 팀러너스나 언박서즈 같은 느낌도 많이났고요. 끊임없이 시도한다고 하여 (n * try = entry)로 설명된 팀명은 1,000조 이상 규모로 키워낼 수 있는 글로벌 사업을 지향하고 있었고, 공동창업자들은 15년 클리프의 락업이 걸리는 형태로 주주간 합의가 되어있었습니다.

 

“박채근, 김기현, 유호진, 정상엽, 강예강은 큰 임팩트(DAU 10억명, 1000조 기업)를 만들자는 목적을 갖고 모였습니다. 덕업일치 라이프스타일에 기반한 무한한 런웨이와 모든 도메인에서 빠른 러닝커브를 그릴 수 있다는 자신감을 토대로 AI, Consumer, Social 이라는 두루뭉실한 키워드에서 아래 관점을 유지하며 레슨런을 쌓아왔습니다”

 

(설렘을 안고 바로 공유한 팀 소개 페이지)

 

그렇게 처음 만난 팀 엔트리의 박채근 대표님은 이제 막 법인을 설립한지 1주일된 상태였습니다. 경희대 의대를 갔지만, 세상을 바꾸는 큰 임팩트에 대한 열망이 더 커서 휴학한 상태였고, 2000년대생 공동창업자들과 같이 서울대입구에서 숙식하면서 다양한 서비스를 만들어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솔직히 처음 만나고 나서는 기대감이 조금 줄어들었습니다. 팀 엔트리는 당시 소아과 대란이 사회적으로 큰 이슈여서 의사-육아맘을 1:1로 연결하는 서비스를 만들고 계셨는데, 시장 관점에서 크게 잘 될 것 같다는 확신이 없었고, 전반적으로 제품 개발/가설 검증 경험이 적어서 앞으로 꽤나 고생을 하지 않으실까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래도 기억에 남는 것은 있었습니다. 일단 눈빛이 좀 미쳐있었고, 미쳐있으면서도 선한 느낌이었고, 미팅이 끝나고 팀엔트리-베이스 그룹톡방을 만들어서 저와 이태양 대표님께 자주 묻고 피드백을 구하고 싶다고하셨던 점이었습니다. 이는 전형적으로 부끄러움을 뒤로한 채 성공하고자 하는 열망이 가득한 창업가의 자세였고, 저희 입장에서는 투자 검토 과정에 있어서 시간을 길게 들여서 팀의 일하는 방식을 파악하는 것만큼 좋은 방법은 없기에 아주 신이나서 응했습니다.

 

(투명하게 많은 과정과 고민을 나누어주시던 팀 엔트리의 모습)

 


 

피봇과 레슨런

 

그렇게 약 4개월 간 팀 엔트리의 초기 실행 히스토리를 지켜볼 수 있는 행운을 가졌습니다. 의사-육아맘 서비스에서 빠르게 피봇하였고, 글로벌 소셜/도파민 카테고리에서 새로운 시도들을 이어나가셨습니다. 사실 이 영역은 제가 활발하게 검토하고 투자했던 분야인데 아주 스마트하고 잘하는 팀들이어도 예상보다 많은 고생을 하고 있었고, 0 to 1의 제품/지표적 성공이 1 to 10의 사업적 성장으로 잘 이어지지 않는 경우를 많이 봐왔기 때문에 걱정이 되었습니다. 선정했던 아이템들이 너무 단기적으로 유행하거나, 유저층이 좁다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찐친끼리의 무전기라든가, 또래들끼리의 플러팅 컨테스트라든가, 그런 것들이었어요. 팀과 톡으로 계속 이야기를 주고 받고, 사무실이자 합숙소를 방문하기도 하면서 계속 지켜보았지만, 뭔가 지속가능한 큰 스케일의 사업이 될 것 같진 않았습니다.

 

그럼에도 과정 중에 매우 인상적이었던 것은 공동창업자 정상엽님께서 한달만에 인스타 팔로워 31만을 모은 것이었고, 그 계정을 이용해서 새로운 서비스를 선택하는 근거로 삼는다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홍보하는 채널로 활용하는 것이었습니다.

  • 한달만에 30만 팔로워 이상을 모은 계정: @blick.day1
  • 모은 팔로워 대상으로 아이디어 테스트를 했던 계정: @app.day1.test

 

이 과정을 포함하여 당시 팀 엔트리의 자세한 실행 과정은 이 페이지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피클, v0.1

 

그러다가 박채근 대표님께서 글로벌 소셜 영역에 대한 도전을 그만하기로 했다는 이야기를 해주셨습니다. 사실 이쯤되면 무한 피봇의 굴레에 빠지는 훌륭한 팀을 많이봐서 속으로 내심 정말 안타까웠습니다. 그런데 야망과 의지가 큰 창업자는 그것도 짧은 과정이라고 생각하는지, 해맑게 날씨가 좋은 미국으로 가기로 했다고 말씀하셨어요. 
 

미국에서 한달여간의 합숙을 마친 뒤 돌아온 대표님을 만났을 때, 박채근 대표님께서 처음 이야기해주신 것이 피클이라는 서비스의 컨셉이었습니다. 미국 프로페셔널들의 Zoom fatigue가 너무 심해서 이들을 위한 AI clone(나 자신을 본뜬 virtual avatar)을 만들어서 본인 대신 줌콜에 참여시킨다는 이야기였습니다. 제품 개발 시작도 안했던 상태였는데, 솔직히 이것을 AI 엔지니어가 한명도 없는 20대 중반 5명이 모여서, 펀딩도 안받고, 잘 만들어낼 수 있을까 고민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초기 지표를 확인하기 전까지는 지켜보며 투자를 하려고 했는데, 팀은 그 사이에 YC W25에 선정되고, 글로벌 top-tier VC인 NFX에서 투자를 받으셨습니다. 첫 투자의 기회를 놓친 것입니다. 꽤 오래, 꽤 가까이에서 봐놓고요. 6개월을 애정을 담아 함께 해왔는데 잘 해낼 수 있을까, 잘 만들어낼 수 있을까와 같은 고민을 거듭하다가요. 정말 좋아하는 여자애랑 썸타고 있었는데, 그 여자애가 갑자기 나는 다른 애랑 사귀게 되었다고 말한 느낌이었습니다.

 

전 아주 솔직히는, 그 시점에서조차 피클이 그렇게 잘 될까라는 고민을 했었기 때문에 지금도 미스테리로 남아있습니다. '어찌했누..?' 그래서 “원래 AI 하나도 모르는데 어떻게 했어요?” 여쭤보니 “그냥 하니까 되던데요? 밤새 다같이 논문 읽어보고, 모르는 것 있으면 전문가들 콜드콜하고, 만들어보니까?” 같은 식의 답변이었습니다.

 

당시 박채근 대표님께서 공유주신 피클 v0.1의 초기 가설 검증 스토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Pickle v0.1 🥒 

Problem
고객 인터뷰를 위해 화상 회의를 하루 10번 이상 진행하면서 상당한 피로감을 느꼈고, 검색 결과 Zoom fatigue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카메라에 비친 본인의 모습을 의식해서 생긴 멀미와 같은 증상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꽤 많다는 것을 찾아냈습니다.

또한, Zoom DAU 3억명, Google Meet DAU 1억명일 정도로 화상 회의는 COVID 19 이후 프로페셔널 업계의 글로벌 스탠다드로 자리잡았습니다. 다만 카메라를 반드시 켜야하는 침습성 때문에 많은 유저들이 Zoom fatigue를 포함하여 다양한 문제를 매일 같이 겪고 있었습니다.

examples
- 하루 6번 이상 매번 카메라 앞에서 화장하고 옷차림을 갖춰입어야하는 IT 회사 매니저
- 운전 및 조깅 시 화상 회의를 참여하지 못하는 startup ceo
- 동시에 복수의 화상회의에 참여하고자 하는 r/overemployed 채널 유저들
- 카메라 화질 및 조명 세팅에 어려움을 겪어 프로다운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는 컨퍼런스 진행자
- etc
 


Hypothesis
최근 Heygen, D-ID, Captions 같은 회사에서 선보인 Digital Twin(Voice-to-Video) 기술을 Real-time Streaming으로 만들 수 있다면 인공지능 모델이 웹캠을 대체할 수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1) Digital Human 섹터의 발전 동향 및 잠재적 경쟁자의 위협은 어떠한가?
→ 실리콘밸리로 직접 가서 디지털 휴먼 스타트업(Tavus, Yuzu Labs etc.) co-founder들과 그들의 데모를 지켜본 후 아직 디지털 휴먼 기술의 발전 단계가 극초기임을 확신했습니다.

2) 우리 팀이 기술적으로 구현 가능한가?
→ 팀 전원이 1달 간 딥다이브하여 라이브스트리밍 모델을 성공적으로 구현했습니다.
 

3) 고객들의 니즈 및 지불 의사가 실존하는가?
→ fake demo를 만들어서 reddit, tiktok에 바이럴 시킨 후 높은 반응도를 관찰할 수 있었고, 트래픽을 기반으로 60명에 가까운 고객들과 인터뷰를 진행하여 다양한 customer story를 모을 수 있었습니다.

→ pre-launch 상태로 early-bird 결제를 받아봤고, $1,000 매출이 발생했습니다.

 

Conclusion
Digital Twin을 생성하는 기술은 단일 모델로 해결되는 것이 아닌 수많은 데이터가 키메라처럼 융합되어 구현되는 것이기 때문에, 높은 빈도의 문제를 푸는 팀이 기술적 우위까지 점할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피클 초기 시절의 fake demo, Reddit에서 'Meetings are a problem of a past'라는 글을 바이럴 시켰다)

 


 

놓친 것: 창업팀의 무한 성장

 

피클은 그렇게 탄생했습니다.

Pickle은 AI Self를 만들고, 꾸미고, 활용할 수 있는 Console이자 Infrastructure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원하는 대로 보여지고 싶은 마음이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AI를 통해 상상 속 모습들을 실시간으로 화면에 구현할 수 있습니다. 더이상 카메라 앞 연출을 위해 현실을 비틀거나 희생할 필요 없습니다.

 

그런데, 전 이 과정에서 무엇을 놓쳤던 것일까요? 
 

돌이켜보면 저는 박채근 대표님을 비롯한 창업팀의 성장 기울기를 놓쳤던 것 같습니다. 특정 시점의 역량이나 지표에 매몰되어 이 팀이 지난 1년동안 얼마나 많은 레슨런을 습득하고, 미친듯이 큰 야망을 현실로 만들어내는 과정을 중시하지 못했던 것 같아 많은 반성을 했습니다. 과정 중간중간에서 팀의 의사결정을 걱정하기보다는 반겼어야했다고 생각합니다. 창업팀이 아이템에 대한 ego가 적고 성공에 대한 야망만이 가득해서 할 수 있는 옳고 빠른 결정이었다는 것을 어리석게도 간과했었네요.

 

(베이스 내부에서 매번 보는 차트 - 팀의 성장이 비즈니스 지표보다 월등할 때 투자기회가 있다)

 

약 1년간의 우여곡절 끝에 저희는 이번 피클의 시드 라운드에 리드 투자자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다시 잡았습니다. 피클이 YC W25 배치에서 ARR 규모 및 성장률 관점에서 Top 5 안에 드는 성과를 내고 있던 시점에 투자하기로 했는데, 2개월이 지난 지금은 당시의 지표보다도 2배 넘게 성장했습니다.

 

(Y Combinator CEO인 Garry Tan의 피클 소개 영상)

 

(초기 피클의 사용성을 잘 보여주는 틱톡 영상 중 하나)

 

이런 초기 성과를 바탕으로 피클 팀은 여전히 큰 야망을 v2.0으로 매우 빠르게 제품화하고 있고, 팀웍과 리더십 관점에서도 놀라울 정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pickle.com이라는 유니크한 도메인도 샀고요. (비싼 도메인도 서슴없이 사는..)

 

(작업 중인 피클 v2.0의 짧은 데모 영상)

 

이 모든 과정을 거친, 요즘 만나는 박채근 대표님은 1년전의 그와는 너무나도 다른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Digital Human에서 AI Self로 비전을 확장하고, 제품/사업 로드맵을 얼라인시키고, 조직을 갖추어나가고, 필요한 펀딩을 유연하게 접근하는 등 창업자이자 대표이사로서 수행해야하는 다양한 역할들에 대해 본질직으로 매우 깊게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사고와 실행에 점점 더 군더더기가 없어지는 그를 마주할때마다 여전히 이 생각이 머리속에서 떠나지 않긴합니다. '어찌했누..?'

 

높은 사용 빈도(빠른 성장을 위해 매우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의 글로벌향 제품을 만난 것도 오랜만이고, 팀이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어 앞으로 무엇이 될지 궁금함과 기대감이 공존한 상태로 곁에서 함께하는 행운을 누리고 있습니다.
 

지금까지의 이야기는 정말로 큰 야망을 가진 팀이 밤낮없이 빠른 실행과 레슨런을 반복하며 성장해나가며, 본인들의 왕국을 만들어가고 있는 이야기의 서막입니다. 베이스벤처스에서 꼭 함께하고 싶어하는 유형의 팀이고, 앞으로도 무조건 이런 팀의 첫 투자자로 함께하고 싶습니다. 머지 않아 이 미친꿈의 2막을 또 공유드릴 수 있길 바랍니다.

 


 

덧붙이는 글 - 피클에서 위대한 빌더를 찾습니다! 🥒

  • 피클에서 글로벌 10억명 이상이 함께쓰는 제품을 만들 위대한 빌더를 찾고 있습니다.
  • 피클의 꿈에 감화되었거나, 추천해주실만한 분이 계시다면 (채용보상금 1천만원!) 채용 페이지에 꼭 들러주세요!
  • 피클 채용페이지: https://builder.pickle.com/ 🔥

 

 


 

끝으로 – 작은팀 전성시대, 1인 유니콘이 온다 🚀

최근 제가 가장 꽂혀있는 영역은 제품주도로 성장이 가능한 AI B2C SaaS입니다.

오픈AI의 샘 알트만이 작년에 앞으로 ‘1인 기업 유니콘이 나타날 것이다’라는 이야기가 화제가 되었었는데, 최근 Cursor, Midjourney, Lovable 등을 보면 정말 소규모 팀으로도 큰 성과를 만들어내는 기업들이 많이 나타날 것이라 생각됩니다. 
 

AI + B2C productivty + Product-driven growth (viral/referral/collaborative) 
⇒ $$$ + data

 

AI로 인해 극단적으로 개발 리소스가 줄어들었고, AI 생산성 툴에 대한 유료 구독이 익숙해졌고, 최대한 빠르게 사용자/데이터를 모아서 더 빨리 모델 성능을 개선시키는 등의 구조를 바탕으로 바이럴/레퍼럴/협업기능 등을 바탕으로 성장하는 서비스들이 대거 출현하고 있는 상황인데, 이런 서비스들은 한국 스타트업들이 매우 잘할 수 있는 영역이라 생각하고, 앞으로도 계속 만나고 싶습니다.

 

'어 난데?' 싶으시면 꼭 베이스벤처스를 찾아주세요!


링크 복사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추천 아티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