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템 선정 #팀빌딩 #운영
직원 복지 만족도 조사, 대충하면 티납니다

 

형식적인 복지 만족도 조사에서 벗어나기

 

notion image

왜 복지 만족도 설문 조사는 항상 유의미한 결과를 못 내는 걸까요? 직원들이 설문에 대충 임하는 탓이기만 할까요? 그럴 수도 있지만 설문 조사가 너무 형식적으로 진행됐던 건 아닌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복지 만족도 조사는 단순히 그럴싸한 질문들을 나열하는 데에 그쳐선 안됩니다. 질문을 만드는 순간부터 '우리가 이 질문을 왜 던지는지', '어떤 답을 얻고 싶은지'를 명확히 의도해야 하며, 그래야만 복지 설문 결과 역시 단순한 수치를 넘어 의미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형식적인 절차가 아닌, 직원의 답변을 이끌어 내고, 그 답변을 실제로 반영할 수 있는 설문 전략을 다룹니다. 설계부터 운영, 결과 해석과 활용까지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함께 소개합니다.

 


 

1. 직원 복지 설문조사 문항 구성 방법

아티클을 더 읽고 싶다면?
이오플래닛에 가입해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아티클을 무료로 볼 수 있어요.
로그인/회원가입
링크 복사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추천 아티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