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팅 #트렌드
검색 데이터로 분석한 k푸드 한·일 트렌드

들어가며

 최근 한국과 일본에서 K-푸드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순두부찌개’, ‘김치’ 같은 전통 한식뿐 아니라, ‘떡볶이’, ‘분모자’, ‘그릭요거트’ 등 한국식으로 재해석된 트렌드 푸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반면, 한국에서는 ‘마라탕’, ‘탕후루’ 등 푸드 트렌드를 거친 뒤, 최근에는 ‘비건 치킨’, ‘제로슈거 믹스커피’ 등 건강과 맛의 균형을 추구하는 소비 성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본 아티클에서는 한국과 일본에서 어떤 K-푸드 키워드가 관심을 끌고 있는지, 그리고 해당 트렌드를 소비자들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검색 데이터를 통해 살펴봅니다.

일본 내 K-푸드 관심 키워드 분석

1. ‘순두부찌개’를 ‘순두부’로 인식하는 일본 소비자

출처 : 리스닝마인드 패스파인더 - スンドゥブ(순두부)

 일본에서 ‘순두부’ 키워드는 월 평균 17만 회 이상 검색되며, 관련 연관어로는 ‘간단 레시피’, ‘재료 구성’, ‘김치와 조합’ 등이 자주 등장합니다. 이는 일본 소비자들이 ‘순두부찌개’를 줄여 ‘순두부’로 표현하고 있다는 인식 차이를 보여주는 대표 사례입니다.
 실제로 일본 구글 검색 결과에서도 ‘순두부’라는 키워드에 ‘순두부찌개’ 이미지와 레시피가 다수 노출되고 있어, 로컬 소비자의 언어 사용 방식을 검색 데이터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불닭’에 관심 있지만 매운맛은 부담스러운 소비자

‘불닭 덜 매운 순서’라는 키워드는 일본 소비자들이 ‘매운맛 도전’보다는 ‘덜 맵게 즐기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출처 : 리스닝마인드 패스파인더 – ブルダック辛くない順 (불닭 안 매운 순)

 검색 경로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매운맛을 줄인 불닭 제품군(크림/치즈 계열) 탐색 ▲맵기를 낮추는 조리법(밥, 야채, 치즈 등)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는 일본 소비자들이 도전보다는 조절 가능한 매운맛을 선호하며, 한국 음식의 강한 자극성을 개인의 섭취 기준에 맞춰 해석·소비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한국 내 푸드 트렌드 키워드 분석

‘저당’, ‘제로’ 식음료 트렌드는 기존 20대 중심에서 40~50대까지 확산 중이며, 대표적으로 ‘모카골드 제로슈거’에 대한 검색량이 최근 3개월 간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3. ‘제로슈거’ 믹스커피, 세대별 접근 방식의 차이

출처 : 리스닝마인드 패스파인더- ‘모카골드 제로슈거’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제로슈거’ 기반 믹스커피를 찾는 소비자 의도가 확인되었으나, 40대를 제외한 다른 연령대에서는 브랜드명을 직접 검색하기보다 유사한 키워드로 접근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예를 들어, 30대 소비자는 ‘맥심 제로’, ‘슈가 맥심’, ‘제로 맥심’ 등의 키워드로 검색을 시작하며, 50대 이상 소비자는 ‘맥심 제로커피’, ‘제로슈거 커피믹스’, ‘맥심 제로 슈가’ 등으로 브랜드 제품을 찾는 패턴을 보였습니다.

결론적으로, 특정 브랜드 키워드의 검색 경로를 분석하면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어떻게 인지하고, 어떤 키워드로 연상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를 통해 경쟁 브랜드와 연관된 검색 흐름 및 소비자가 인지하는 카테고리까지도 유추해볼 수 있겠습니다.

마치며

한·일 푸드 트렌드는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과 식문화의 변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K-푸드가 단순한 맛을 넘어 일상 속, 다양한 미디어 콘텐츠, 한국 여행 등 새로운 문화적 코드와 결합하며 확산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각 세대별로 건강, 간편함, 재미를 고려한 소비 트렌드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관련된 전체 내용은 아래 [리포트 다운로드]를 통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리포트 전문 확인하기(Click!)

링크 복사

댓글 0
댓글이 없습니다.
추천 아티클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