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장집배원의 인사말
매일의 문장집배원 뉴스레터 구독하기
안녕하세요.
저는 매일 아침 문장을 모으는
📮 문장집배원, 김효선(써니) 입니다.
힘들 때, 불안할 때,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 모두 문장에서 답을 찾았습니다.
이렇게 평범한 문장들이 모여 한 사람을 움직이고, 변화시키기도 하더라구요.
제가 모으는 문장들이 여러분들의 삶에 조금이나마 윤기를 더 할 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요즘 부쩍 주위에서 “힘들다”는 말을 자주 듣는 것 같아요.
그런데 그 어떤 고단함도, 한 단어 앞에선 한없이 작아지는 것 같습니다.
바로 ‘죽음’이란 단어입니다.
저도 가까운 이의 죽음을 겪고 난 뒤로
생과 사 사이의 경계에 선 사람들의 이야기에 자주 눈길이 머물곤 해요.
아이러니하게도, 죽음을 마주할수록 내 안의 날카로운 가시들이 스르륵 사라지더라고요.
삶의 끝자락을 지나온 이들의 문장은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잊고 있던 생의 감각을 선물해줍니다.
그래서 오늘은, 오늘을 마지막처럼 살아낸 이들의 문장을 전해보려 해요.
지금 이 순간에도 묵묵히 하루를 살아내고 있는 당신에게 닿기를 바라며
🌲 살아있으니까 흔들리는 거지
- 왜 흔들리겠나? 중심으로 돌아가기 위해서야. 나무들이 흔들리는 것도 원래의 자세로 돌아가기 위해서라네. 바람이 없는 날에도 수직의 중심으로 가기 위해 파동을 만들지. 그게 살아 있는 것들의 힘이야.
이어령의 마지막 수업 | 이어령
죽음의 시간을 알고 있는 사람들은 오히려 평온해 보이는데, 살아 있는 이들의 삶은 어쩐지 더 불완전해 보일 때가 있어요. 어쩌면 ‘흔들린다’는 건 살아 있다는 증거일지도 모르겠어요. 그래서 저는 요즘, 그 불안과 흔들림이 괜히 다행처럼 느껴지기도 해요.
여러분의 삶은 지금, 어떤 모습인가요?📮 문장집배원 코멘트
😕 나에게도 찾아온 손님
- 마음이 무겁고 흔들릴 시간이 없다. 남겨진 사랑들이 너무 많이 쌓여 있다. 그걸 다 쓰기에도 시간이 부족하다.
- 살아 있는 동안은 삶이다. 이 삶에 성실한 책무가 있다. 그걸 자주 잊는다.
- 돌보지 않았던 몸이 깊은 병을 얻은 지금, 평생을 돌아보면 만들고 쌓아온 것들이 모두 정신적인 것들뿐이다.
- 길가에 차를 세우고 음악을 듣는다. 끊어지고 이어지는 음들, 가라앉고 떠오르는 음들, 누군가는 말했었다. "음 하나를 더하면 기쁨이 되고, 음 하나를 빼면 슬픔이 되는 것, 그게 인생이야"
아침의 피아노 | 김진영
『아침의 피아노』는 철학자 고 김진영 선생님이 2017년,
암 선고를 받은 뒤 남긴 마지막 메모들을 담은 책이예요.
그는 생전 수많은 ‘죽음’에 대해 강의해온 철학자였지만,
자신의 죽음을 앞두고 그는 다시 ‘삶’을 사색하기 시작했어요.
사실 죽음이라는 손님은 언제 찾아와도 이상하지 않기에,
요즘은 거창하지 않아도 내 온도로 은은하게 하루를 살아가고 있어요.
우리는 모두 '우주의 먼지'같은 존재 잖아요.
힘들 때 '또 우주먼지가 너무 심각하게 생각하네' 하고 털어버려요.📮 문장집배원 코멘트
💬 오늘의 문장은 어떠셨나요?
댓글로 남겨주시면 같이 이야기 나눠보아요. 🚀
매일의 문장집배원 뉴스레터 구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