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전략
#운영
#트렌드
AI 3대 강국, 정말 될 수 있을까?
지난해 9월, 정부는 국가인공지능위원회를 출범시키며 2027년까지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그로부터 약 6개월이 지난 지금, 한국의 AI 경쟁력은 얼마나 달라졌을까요? 반도체, AI 모델, 인재 육성이라는 세 가지 주요 분야를 점검해 보겠습니다.
AI 반도체 : 가능성과 한계
AI 시대의 반도체 경쟁력은 크게 세 가지 요소에서 결정됩니다. 로직 메모리(GPU 등) 설계, 초고속 메모리(HBM), 그리고 반도체를 생산하는 파운드리입니다.
GPU는 AI 모델이 크고 복잡해짐에 따라 방대한 연산을 빠르게 처리하는 필수 반도체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 분야에서는 엔비디아가 가장 큰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팹리스(칩 설계) 시장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엔비디아의 의존도가 심화되면서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자체 개발이나 스타트업 투자를 통해 의존도를 줄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국내 기업에게도 기회가 생기고 있습니다.
이재훈 님이 작성한 다른 아티클
더보기
댓글이 없습니다.
추천 아티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