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전략
#운영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합격률 100% 사업계획서
디자이너로 시작해 창업을 하게 되면서, 포트폴리오 대신 사업계획서와 IR자료를 만들고 있다.
지금까지 짐워크 팀은 총 4개의 정부지원사업에 지원해 서류합격률 100%를 기록했다.
- 2023년 예비창업패키지 (최종 합격)
- 2025년
- 구글 창구 7기 (최종 합격)
- 초기창업패키지 (서류합격)
- SW마에스트로 창업기업 (서류합격)
올해는 구글 창구 프로그램에 최종 선정됐고, 초창패와 소마는 중복 수혜가 되지 않아서 서류합격 후 지원취소를 하게됐다.
브런치에 첫 창업 스토리를 올릴 때만해도 ‘드디어 포트폴리오 안 만들어도 된다 럭키비키~’라고 외쳤지만...이제는 나를 위한 포트폴리오가 아니라 우리 팀과 제품을 소개해야하는 더 큰 미션이 주어졌다.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사업계획서를 쓸 때 강점
익숙한 논리 전개
프로덕트 디자이너의 포트폴리오와 사업계획서는 꽤나 유사한 점이 많다. 포트폴리오가 [문제정의 > 해결방법 > 정성적/정량적 결과]로 구성된다면 사업계획서는 [문제 인식 > 실현가능성 > 성장전략 > 팀구성] 으로 포맷이 정해져있다는 점이 비슷하다.
빈디 님이 작성한 다른 아티클
더보기
추천 아티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