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전략 #기타
병원 예약이라는 프로세스에 돈을 받기 시작한 '똑닥'

 

🎈 한 줄 요약

- '건강'을 담보로 한 유료화

✔️ 똑닥이 본격적으로 유료화를 시작했어요. 이제 똑닥을 이용해 병원을 예약하려면 월 1,000원 이라는 비용을 내야 하는 거죠. 이 부분에 대해 저는 다양한 문제가 있을 거라 봐요 우선 가장 큰 문제는 '건강'을 담보로 유료화를 시행했다는 점이에요.

✔️ 건강을 담보로 했다는 것의 의미는 '돈을 내지 않으면 예약할 수 없다'라는 좀 자본주의라는 시장 경제 논리에 따른 처사가 아닐까 해요. 생각보다 똑닥은 병원 진료 예약이라는 측면에서 많은 시장을 차지하고 있는데요.

✔️ 2021년 기준 45%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요. 또한, 최근에 회원 수가 700만 명에 달하고, 연결된 병원수만 12,000여 곳에 달한다고 하네요. 이로써 똑닥을 대체할 앱은 별로 없다고 봐도 돼요.

아티클을 더 읽고 싶다면?
이오플래닛에 가입해주세요.
로그인 후 모든 아티클을 무료로 볼 수 있어요.
로그인/회원가입
링크 복사

글쓰는개미핥기 빅테크 스타트업 · 기타

UX라이터로 재직 중입니다.

댓글 5
건강을 담보로 한 유료화라고 하기에는 1000원은 너무 적은 금액 아닌가요? 어린 아이를 가진 부모로써 똑딱 무척 잘 쓰고 있고 유료화에 아무런 불만사항이 없습니다. 애가 무척 아플때 바로 방문가능한 병원 찾는데 얼마나 큰 도움을 얻었는지... 또한 저는 개발자로써 아래분 처럼 서버비와 인건비가 거저 나오는게 아니기에 고작 1000원이 이런 비난적인 내용을 들을 정도로 과한 금액도 아니라고 생각이 드네요. 글을 보고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는 경고성보단 그저 불평 불만이 느껴지네요. 기술 때문에 소외되는 개층 이야기도 비단 똑딱 만의 문제는 아니죠. 시대가 변화면서 생기는 문제로 이건 모든 시스템에서 생각해봐야 할 문제인데 똑딱이 비난 받는 느낌이네요. 똑딱이 현장 접수를 안받는게 아니죠. 그 병원의 정책인데 왜 똑딱 때문처럼 글을 쓰셨는지...... 그것도 웃깁니다.
여기서 쟁점인 부분은 '금액의 크기'가 아니라, 병원 예약이라는 것에 '비용'이 책정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당장 몇 년 전까지만 해도 배달음식에 '배달비'가 책정되는 것이 보편적이지 않았죠. 배달의 민족 등 배달 서비스를 집중적으로 다루는 플랫폼들이 등장하고, 점점 시장을 지금처럼 높은 금액의 배달비를 내는 것이 당연하게 되었죠.
여기서 배달과 병원예약이 다른 점은 배달의 경우에는 소비자가 배달을 안 시키는 것으로 대항이 가능하지만, 병원 예약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는 겁니다.
최근에는 예약앱으로 접수하지 않으면, 진료 자체를 봐주지 않는 병원도 생기고 있습니다.
말씀해주신 예의 정반대 상황으로, 내 아이가 아파서 병원에 갔는데, 앱 예약을 하지 않아서 접수자체를 받지 않겠다는 경우에는 이용자에게 대항력이 전혀 없죠. 비용이 얼마가 되던 앱 설치하고 유료 구독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이런 부분에서 건강을 볼모로 잡는다는 의견이 나오는 거구요.
물론 회사의 입장에서도 마땅히 수익 창출을 해야하지만, 의료 서비스의 예약 자체를 비즈니스 모델로 하는 것을 허용하는 부분은 사회전반적으로 충분히 고민해봐야 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건강 사업 만큼은 담보로 잡히는 느낌이 없으면 좋겠어요 굳이 환자에게 전가되나 싶네요...
근데 유료화를 하더라도 병원에게서 돈을 받아야지 왜 환자에게??
당연히 유료화 해야죠 서버비와 인건비만 해도 월 수천만원씩 적자인데 계속 무료로하면 어플이 사라질거고 오히려 불편해지고 2천원도 낼테니 새로 누가오픈하라고 할걸요? 건강을 담보라는것도 웃긴게 의사들도 건강을 담보로 돈을 벌고 있습니다
이번주 인기 아티클
추천 아티클
글쓰는개미핥기 빅테크 스타트업 · 기타

UX라이터로 재직 중입니다.

5